mean(평균)임금에 대하여 - mean(평균)임금에 대한 실무적 검토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03 01:21
본문
Download : 평균임금에대하여.hwp
2.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의 산정방법
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을 산정하기 위하여는 ① 산정사유가 발생하면, ②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을 산정하기 위한 대상기간을 확정하여 그 날짜수를 산정하고, ③ 그 기간동안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총액을 산정하여, ④ 지급된 임금총액을 날짜수로 나누어주면 된다된다.
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에 대한 실무적 검토
1.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의 concept(개념) / 산정이유
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이란 산정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간에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날짜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.
1) 산정사유의 발생
① 퇴직금의 경우 : 근로자가 퇴직한 날
② 휴업수당의 경우 :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휴업하게 된 날
③ 재해보상금 / 산업재해보상保險법상 保險급여 : 사망?부상의 원인(原因)이 되는 사고가 발생한 날 또는 진단에 의하여 질병이 발생되었다고 확정된 날
④ 제재(징계)로서의 감급 : 감급의 의사표시가 근로자에게 도달한 날
2)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 산정대상기간과 날짜수
①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 산정대상기간은 산정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간이며, 산정사유일은 포함하지 않고 그 전날부터 과거로 소급하여 3월간이 된다된다. 따라서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은 1일 단위로 산정된다된다.
Download : 평균임금에대하여.hwp( 30 )
mean(평균)임금에 대하여
레포트/법학행정
설명
평균임금에 대하여 -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 , 평균임금에 대하여 - 평균임금에 대한 실무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, 평균임금 대하여
mean(평균)임금에 대하여 - mean(평균)임금에 대한 실무적 검토
다.
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은 근로기준법상 ① 퇴직금(§34), ② 휴업수당(§45), ③ 재해보상금(§82이하), ④ 근로자에 대한 제재(징계)로서의 감급(§98), ⑤ 연차휴가수당(§59 ③), ⑥ 산업재해보상保險법상 각종 급여 등을 산정하는 기준금액이다. 취업한 후 3월이 되지 못한 경우에는 취업한 기간 모두가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 산정대상기간이 된다(예 : 취업후 1월만에 업무상재해가 발생한 경우). 예를 들어 5월 10일에 퇴직한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을 위한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 산정대상기간은 5월 10일의 전날, 즉 5월 9일부터 2월 10일까지이며, 총 날짜수는 89일이 된다(윤년의 경우 90일).
② mean or average(평균) 임금 산정대상기간에 아래의 기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기간과 해당 기간동안 지급받은 임금은 공제한다(영 §2). 즉, 이러한 경우 앞의…(skip)



순서
평균임금,대하여,법학행정,레포트
-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