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산별곡(靑山別曲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7 03:22
본문
Download : 청산별곡(靑山別曲).hwp
…(To be continued )
11kuk9222 , 청산별곡(靑山別曲)기타레포트 ,
Download : 청산별곡(靑山別曲).hwp( 59 )
다. 지내왔구나
▶ 시구 풀이
살어리 살어리랏다.
-여기에 나오는 청산은 머루와 다래(쌀과 보리 등의 세속적인 것과 반대되는 관념)가 있는 청산이다. 청산에 대한 작중 화자의 소망은 ‘현실’에서 부딪치는 삶의 괴로움을 청산에 떨쳐 버리려는 희망에서 비롯된 것이다.
주제: 삶의 고뇌와 비애. 또는 실연의 애상(哀傷)
출전: <악장가사>, <악학편고>, <시용향악보>(여기서는 1연만 전함)
▶ 시어 풀이
살어리: ‘살어리랏다’의 To be continued 형. 율조를 맞추기 위한 표현
멀위랑: 머루며. 머루와. 머루랑
우러라: ① 우는구나(감탄형). ② 울어라(명령형). ③ 노래하라(명령형)
니러: 일어나
시름 한: 시름(걱정)이 많은
가던 새: ① 날아가던 새. ② 갈던 밭
믈 아래: 평원 지대
잉무든: 이끼 묻은(녹이 슨)
장글란: 쟁기일랑(연장일랑). 병기를
이링공뎌링공: 이리고 저리고
디내와손뎌: 지내왔도다. 청산에 살어리랏다. ④ 제 2연부터는 ‘얄랑셩’이 ‘얄라셩’으로 되어 있다
우러라 우러라 새여,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.
-새는 비탄 속에서 통곡하는 서정적 자아의 감정이 이입된 분신이자 그를 위로해 주는 새가 된다
널라와 시름 하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.
-적막한 산중에 홀로 지내는 고독한 새와 자신의 처지를 비교하여 ‘동병상련(同病相憐)’의 감정을 나타낸 구절이다.
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
-① 악률에 맞추기 위한 후렴구. ②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고[조흥구(助興句)]. 노래의 절주(節奏)에 맞추기 위한 것. ③ ‘ㄹ’과 ‘ㅇ’의 연속음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능(두드러진 활음조 현상)를 나타내며 낙천적이고 명랑한 느낌을 준다.
11kuk9222
,기타,레포트
설명
레포트/기타
순서
청산별곡(靑山別曲)
_hwp_01.gif)
_hwp_02.gif)
_hwp_03.gif)
_hwp_04.gif)
_hwp_05.gif)
_hwp_06.gif)
▶ core 정리(整理)
갈래: 고려속요, 고려가요, 장가
형식: 전 8연의 분장체. 매 연 4구 3·3·2조의 3음보
짜임: 기 승 전 결의 4단 구성. 혹은 산-바다의 대칭적 2단 구성
표현: ㄹ 음의 반복과 ㅇ 음의 어울림에서 빚어내는 음악성이 대비되었고, 반복법과 상징성이
두드러진다.